[내외경제] 서양화가 이명림 개인전 서양화가 이명림 인천『Gallery Square 1』에서 제4회 개인전 서양화가 이명림은 『Harmony of Human & Nature』라는 주제로 개인전을 갖는다. ♣ 때 : 2015년 1월 19일부터 2월2일까지 (10:00-20:00) ♣ 곳 : 인천시 연수구 동춘동 926(동춘역1번 출구) Square1(4층 문화홀) ♣ 곳 : 인천시 연수구 동춘동 926(동춘.. 보도자료 2015.01.02
[내외경제] 중국 스모그의 주범은 석탄! 근본적 공조 대책이 시급하다 문장수 논설실장(공학박사, 기술사) 최근 미국 상무부는 중국의 환경관련 시장이 2020년 까지 약 3배로 성장하여 약 5,550억 달러(한화 582조 원)가 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이는 2010년을 기준으로 볼 때 중국경제가 환경문제로 인해 GDP의 약 2.5%인 1조 1,000억 위안(한화 190조 원)규모의 경.. 보도자료 2014.12.22
[내외경제] 공적원조 봉사활동, 새로운 전환 마련되어야 김영모 교수 (농학박사) 르완다대학교 농업대학 아프리카는 지구 육지면적의 1/5로 아시아 다음으로 큰 대륙으로 인구 약 11억 명이 54개의 크고 작은 나라에 살고 있다. 그 중 르완다는 케냐 및 탄자니아의 서쪽, 우간다의 남쪽 그리고 부룬디의 북쪽에 위치한 나라로, 이들 나라와 함께 동.. 보도자료 2014.12.17
[내외경제] 한.중 환경기술 실증화 지원센터, 중국 진출의 마중물 문장수 논설실장(공학박사, 기술사) 환경부(장관 윤성규)는 2014년 11월 15일(토) 중국 북경에 소재한 환경과학연구원에서 윤성규 환경부 장관, 저우성센(周生賢) 중국 환경보호부장, 김용주 한국환경산업기술원장, 멍웨이(孟偉) 중국환경과학연구원장 등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한‧.. 보도자료 2014.12.11
[내외경제] 을지문덕 장군의 정신을 기린다 문장수 논설실장(공학박사, 기술사) 일찍이 단재(丹齋) 신채호(申采浩)선생은 사료의 인멸(湮滅)로 영영 잊혀질 뻔한 위인의 사적 을지문덕전(乙支文德傳)에서 이렇게 썼다. “을지문덕은 우리나라 4천년 역사에 유일무이한 위인일 뿐 아니라, 또한 전 세계 각국에도 그 짝이 드물도다!”.. 보도자료 2014.12.09
[내외경제] 지금 이 시대의 진정한 리더십은 “이웃사랑”이다 문장수 논설실장(공학박사, 기술사) 미국의 34대 대통령 아이젠하워(Dwight Eisenhower)는 미국의 영웅이자 리더십의 대가로 알려지고 있다. 1915년 미국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맥아더 장군의 연설 담당 비서가 되어 필리핀에서 근무하기도 했다. 제2차 세계대전 때에 유럽 연합군 총사령관.. 보도자료 2014.11.06
[내외경제] 환경보전은 국가 경쟁력이다 환경보전협회 이상팔 사무총장 환경보전협회(회장 박용만)는 환경정책기본법 제59조(환경보전협회)에 근거하여 1978년에 환경부 산하 법정법인으로 설립되었다. 협회 본회에는 2본부 6처 2센터 1실 17부와 11개의 지역협회로 구성되었고, 전국 직원 수는 총 200명으로 본회에 90명, 지역협회.. 보도자료 2014.10.28
[내외경제] 사이버 탈출, 인터넷 보완시스템 강화해야 된다 문장수 논설실장(공학박사, 기술사) 정보기술의 발달에 따라 개인정보가 다양한 경로를 통해 침탈되고 있다. 한국은 세계에서 유일하게 모든 국민에게 개인별 고유인식번호인 주민등록번호를 부여하고 있는 나라이다. 이 번호만 알면 학교, 성적, 고향, 성품, 교우, 주소, 가족, 재산, 소.. 보도자료 2014.10.23
[내외경제] 한글날 유감, 없애버린 훈민정음 복구해야 문장수 논설실장(공학박사, 기술사) 본 내용은 강상원 박사의 강의 내용을 중심으로 작성되었음을 밝입니다. 조선 제4대 세종대왕(1418~1450)은 즉위한 지 28년이 되던 1446년 9월 훈민정음을 반포하셨다. 백성들이 말은 할 수 있어도 글을 알지 못하는 것을 안타깝게 여겨 세종 25년(1443) 12월에.. 보도자료 2014.10.14
[내외경제] 창조경제의 기틀이 되는 녹색제품 조달을 확대해야 문장수 논설실장(공학박사, 기술사) 녹색조달은 세계적 추세이다. Rio+20 지구정상회의에서 지속가능 소비·생산을 위해 공공조달을 녹색화 하는 것이 UN의 10개년 과제에 포함되어 있기도 하다. 전 세계적으로 지속가능 공공조달(sustainable public procurement)이 환경적, 사회적 편익을 높일 수 .. 보도자료 2014.1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