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외경제] 지구촌 시대의 걸 맞는 이름 함미자 명예특임교수 (경희대학교 국제대학원) 사람이 언제부터 이름을 사용하게 되었는지 정확하게 알 수 없지만, 아마 유사이전부터 사용하였으리라 짐작된다. 이름은 평생 동안 불리어지고 또한 후세에도 남는 것으로 뜻도 좋아야 하고 부르기도 좋아야한다. 또 이름의 의미를 본인.. 보도자료 2014.07.29
[내외경제] 아프리카 영양실조 어린이, 우리 지혜로 극복케 해야 한다! 김영모 교수 (농학박사)르완다대학교 농업대학 필자가 4년 전 처음 이곳 아프리카 르완다에 KOICA단원으로 도착했을 때 기후가 좋다는 것을 느끼고 부럽기까지 했다. 나는 아프리카 여러 나라들이 식량 부족이라는 사실이 이해가 되지 않는다. 이 나라는 전 국토가 구릉으로 이루어진 나라.. 보도자료 2014.07.21
[내외경제] 통즉불통(通則不痛)이오 불통즉통(不通則痛)이라 문장수 논설실장(공학박사, 기술사) 동의보감은 원래 1596년(선조 29)에 태의(太醫) 허준이 왕명을 받아 유의(儒醫)인 정작(鄭碏), 태의 이명원(李命源)·양예수(楊禮壽)·김응탁(金應鐸)·정예남(鄭禮男) 등과 함께 집찬하였는데, 정유재란으로 일시 중단되었다가 그 뒤 선조가 허준에.. 보도자료 2014.07.16
[내외경제] 국토부, 국민안전 위협하는 건설기술진흥법 폐지와 기술사법 선진화를 촉구한다~! 문장수 논설실장(공학박사, 기술사) 세월호 침몰 참사가 발생한 후 15일자로 벌써 3개월이 되었다. 실종자 수색 등 사고수습에 한국의 모든 국력이 총동원 되었지만 아직까지 실종자 11명은 찾지 못하고 있고 명확한 사고원인도 규명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온 국민을 비탄과 슬픔에 .. 보도자료 2014.07.15
[내외경제] 친환경 접착제 선점 국가, 세계시장을 장악한다 문장수 논설실장(공학박사, 기술사) 환경부(장관 윤성규)는 삼성서울병원 아토피 환경보건센터(환경부 지정)와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의 공동 연구결과, 아토피피부염 증상과 대기질 간 상관성이 있음을 확인했다고 발표했다. 대기오염 측정 결과, 대기 중 미세먼지(PM10), 벤젠, 톨루엔, .. 보도자료 2014.07.15
[내외경제] 브라질 월드컵 참사를 되새겨 봐야 한다 논설실장 문장수(공학박사, 기술사) 브라질은 독일과 월드컵 4강전에서 1대7로 참패하자 브라질 전역에서 소요 사태가 벌어졌다. 상파울루에선 20대의 버스가 방화로 불탔고 리우데자네이루에선 무장 괴한이 등장해 총을 쏘면서 가방과 귀중품을 뺏는 강도 사건이 발생했다. 또 흥분한 축.. 보도자료 2014.07.11
[내외경제] 친절과 사랑을 베푸는데 자본이 들지 않는다 김영모 교수(농학박사, 르완다 대학교 농업대학) 나는 “바보”라는 단어를 좋아한다. 지난날을 돌이켜 보면 언제나 나는 바보였다는 생각이 든다. 그 때 그러지 말았어야 하는 건데... 등등의 후회스런 일들이 많았다. 내가 KOICA 봉사단 일행으로 수행하고 있는 아프리카 르완다 학생들은.. 보도자료 2014.07.07
[내외경제] 한국환경산업기술원, 부정 연구비집행 사전차단 할 새로운 진화 문장수(논설실장,공학박사,기술사) 우리나라의 국가연구사업은 1992년 G7사업에서부터 그 기초가 되고 있다. 기술개발 후발주자로서 G7국가를 롤 모델로 하여 그들의 선진 기술을 따라잡겠다는 것이 기술개발의 주류였던 야심찬 사업이었다. 이제는 20년을 훌쩍 넘긴 성인으로 성장한 것이.. 보도자료 2014.06.30
[내외경제] 한국건설안전협회, 사고예방 대민지원단 무료운영 (사)한국건설안전협회 안무영 회장(기술사, 공학박사) 최근 세월호 참사 이후 연이은 대형 사고는 사회문제로 국가 안전정책 실현이 절실히 요구되는 시점에 와 있다. 이에 한국건설안전협회(안무영 회장)는 사회적 안전의식 고취 및 국가 안전정책 실현에 일조하기 위한 사회봉사활동 .. 보도자료 2014.06.26
[내외경제] 아프리카, 진정한 도움 낚싯대를 쥐어 줘야! 김영모 교수(농학박사) 르완다 대학교 농업대학 아프리카 르완다에 KOICA 봉사단 일행으로 이곳에 도착하여 4년 여 생활을 통하여 이들로부터 느껴지고 얻어지는 것들도 많았고 의아해 하는 일도 많았다. 이들이 입고 먹고 집 들여 사는 모습을 보면 빈부 차이가 심하다는 것을 쉽게 느낄 .. 보도자료 2014.06.19